Q&A
- Files0
- View
- 202
2023년 담화인지언어학회 · 한국사회언어학회 공동 학술대회가 아래와 같이 열릴 예정입니다.
회원 여러분의 많은 참여 부탁드립니다.
일시: 2023년 04월 22일 (토)
주최: 담화인지언어학회ㆍ한국사회언어학회
주제: 진행 중인 언어 변화와 변이
장소: 이화여자대학교 인문관 111호
참가비: 2만원 (학생 1.5만원)
기조강연 2: 이성하 교수님 (Mahidol Univ./한국외대) 온라인 참가 회의 ID: 869 1625 6421 / 암호: discog
https://us02web.zoom.us/j/86916256421?pwd=SFo1em1XczQ5YloxeXU2T0FLdHFudz09
일 시 | 발 표 및 내 용 | 비 고 | ||||
제1부 | 9:00~9:30 | 등 록 | ||||
9:30~9:50 | 개회식 및 학회장 인사 (인문관 111호) 개회사 | 허재영(사회언어학회 회장, 단국대) | 사회: 김정연(울산과기원) | ||||
9:50~10:00 | 휴 식 | |||||
제2부 | 분과 발표 | Session 1 <화용론> (인문관 103호) 사회: 강만진(호서대) | Session 2 <담화・인지언어학1> (인문관 111호) 사회: 채숙희(서울디지털대) | Session 3 <제2언어 학습> (인문관 104호) 사회: 김병문(연세대) | ||
10:00~10:30 | 미래 팬데믹에 대한 대응전략: 감염병의 메시지를 중심으로 | 아프리카 피진-크리올어에 나타난 언어변이와 변화 특징, 동사문법 범주(시제, 상, 법)를 중심으로 | 중국인 한국어교육 대학원생의 학문적 정체성 형성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- 언어 학습과 정체성 형성을 중심으로 | |||
발표: 강철(서울시립대) 토론: 김용찬(연세대) | 발표: 권명식(한국외대) 토론: 목정수(서울시립대) | 발표: 남설영(연세대) 토론: 이정은(연세대) | ||||
10:30~11:00 | 집단차별어의 화용론적 해석 | 영어학습자 대화에서의 코드스위칭 - 외국인 참여 여부에 따른 비교 연구 | 중국 월방언 화자들의 한국어 종성 발음 연구 - 월방언의 진행 중인 종성의 변화를 중심으로 | |||
발표: 김진웅(경북대) 토론: 신유리(성균관대) | 발표: 윤소연(인천대) 토론: 이은경(이화여대) | 발표: 장산산(숭실대), 유월(숭실대) 토론: 김은주(서울시립대) | ||||
11:00~11:30 | 토론 담화에 나타난 담화 표지의 특성 연구 | Construing the picket sign my body, my choice within a Viewpoint-spaces network | 재한 구(舊)화교와 신(新)화교의 언어 사용과 언어 태도 비교 연구 | |||
발표: 나은선(숭실대), 신현정(이화여대) 토론: 허상희(부산대) | 발표: 강루미(한국외대), 권익수(한국외대) 토론: 나익주(전남대) | 발표: 당기(연세대) 토론: 윤지원(창신대) | ||||
11:30~12:00 | 한국어 모어 화자와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의 인사 화행 연구 | 영어 온라인 수업에 관한 중⦁고등학생의 실재감과 성취감 분석 | 공손성 판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판단 양상 연구 - 상호작용적 공손성을 중심으로 | |||
발표: 황선영(아주대), 하지혜(극동대) 토론: 정혜선(국립국어원) | 발표: 김형준(아주대), 김현옥(아주대) 토론: 윤성규(선문대) | 발표: 정지훈(연세대) 토론: 공나형(전남대) | ||||
12:00~13:00 | 점 심 | 12:40~13:00 (인문관 105호) 담화인지언어학회 이사회 | ||||
제3부 | 13:00~13:50 | 기조 강연 1 사회: 소신애(이화여대) 발표: 박경래(세명대) 제목: 충북 출신 중국 이주민 집단의 언어사용 변화 양상 - 정암촌의 충북 방언을 중심으로 | ||||
13:50~14:00 | 휴 식 | |||||
14:00~14:50 | 기조 강연 2 사회: 윤소연(인천대) 발표: 이성하(한국외대) 제목: Language Contact and Grammaticalization of Adpositions: A Case of Some Asian Languages | |||||
14:50~15:00 | 휴 식 | |||||
제4부 | 분과 발표 | Session 4 <음성・음운론> (인문관 103호) 사회: 김선철(국립국어원) | Session 5 <담화・인지언어학2> (인문관 111호) 사회: 김현옥(아주대) | Session 6 <형태・의미론> (인문관 104호) 사회: 조원형(서울대) | ||
15:00~15:30 | 메신저 대화에 나타나는 음운적 변이 양상 - 30대~50대 여성 화자의 대화를 대상으로 | Linguistic representations of the coronavirus in English | 신어 형성과 어휘 변화 - 의미적 신어를 중심으로 | |||
발표: 홍미주(경북대) 토론: 하신영(인천대) | 발표: 이혜경(아주대) 토론: 정인식(서울디지털대) | 발표: 정한데로(가천대) 토론: 이찬영(연세대) | ||||
15:30~16:00 | ‘해요체’의 진행중인 변화 연구 - ‘요>여’ 변화를 중심으로 | 한국어 감정어 연구 | A preliminary corpus study of the use of ‘다문화 (multiculture)’ in the media in South Korea | |||
발표: 박정순(숭실대) 토론: 허인영(인하대) | 발표: 이유미(중앙대), 이은재(중앙대), 이승호(중앙대), 이기성(중앙대) 토론: 이지용(경상국립대) | 발표: 김보라(서울시립대) 토론: 황은하(배재대) | ||||
16:30~17:00 | 발화 어말 위치에 나타나는 /ㅗ/의 /ㅜ/ 대체 양상 연구 - 서울말 메신저 대화 말뭉치를 대상으로 | NEG-derived Avoidives in Korean | 온라인 스트리밍 방송 언어의 소통구조 및 감정 표현 연구 | |||
발표: 안미애(경북대) 토론: 하영우(전주대) | 발표: 예선희(중앙대) 토론: 엄수진(한국외대) | 발표: 명정희(서강대) 토론: 박은하(대구대) | ||||
17:00~17:30 | 철자 중심 발음에 대한 사회언어학적 연구 | A typological analysis of English-Korean code ambiguation (language play) | From Verb to Affix: In the Case of the Korean Verb ha- 'do' | |||
발표: 임선우(숭실대) 토론: 김한별(서강대) | 발표: 이성용(한남대) 토론: 이지영(인하공업전문대) | 발표: 백정혜(삼육대) 토론: 안미경(한국외대) | ||||
17:30~17:40 | 휴 식 | |||||
제5부 | 17:40~18:00 | 폐회식 (인문관 111호) 폐회사 | 이혜경(담화인지언어학회 회장, 아주대) | 사회: 김진웅(경북대) |
게시물수정
게시물 수정을 위해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.
댓글삭제게시물삭제
게시물 삭제를 위해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.